반응형

혼동한자 시리즈 194

혼동한자 #104. (甫 클 보)시리즈4

1) 圃 (채마밭 포): 채소를 키우려고 넓게(*甫) 사각형으로(口) 만든 채마밭.. (노포, 현포, 금포 등에 쓰임) *甫:클 보 2) 哺 (먹일 포): 입을(*口) 크게(甫) 벌려 밥을 먹이는.. (포유, 포양, 반포 등에 쓰임) *口: 입 구 3) 逋 (도망갈 포): 넓은(甫) 지역으로 움직여(*辶) 도망가는.. (주포, 포객, 유포, 포대 등에 쓰임) *辵 쉬엄쉬엄갈 착 辶 : 이 부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책받침 변)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혼동한자 #103. (甫 클 보)시리즈3

1) 匍(길 포): 몸을 둥글게 싸듯이(*勹) 펴서(*甫) 기어가는.. (포행, 포복, 포구 등에 쓰임) *勹 쌀 포 *甫:클 보 2) 葡(포도 포): 풀잎에(*艹) 싸여서(勹) 크게(甫) 달린 포도.. (포도, 주로 인명자, 지명자에 쓰임) *艸 풀 초 艹 3) 脯(포 포): 몸을(*月) 넓게(甫) 펼쳐놓고 포를 뜨는.. (육포, 비포, 복포등에 쓰임) *肉 고기 육 月 : 육달월 이라고해서 고기, 몸, 등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 4) 蒲(*부들 포): 물 위에(*氵) 넓게(甫) 떠있는 풀(*艹).. (창포, 포색, 심포,모포등에 쓰임) *부들: 개구리 밥 *水 물 수 氵(삼수 변) *艸 풀 초 艹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

혼동한자 #102. (甫 클 보)시리즈2

1) 浦(물가 포/개 포): 물이(*氵) 넓게(*甫) 퍼져있는 물가.. (포구, 포항, 남포 등에 쓰임) *水 물 수 氵(삼수 변) *甫: 클 보 2) 捕(잡을 포): 손을(*扌) 넓게(甫) 구석구석 펼쳐서 범인등을 잡는.. (포착, 생포, 체포, 포졸 등에 쓰임) *手 손 수 扌 3) 鋪(펼 포/가게 포): 쇠(*金) 를 크고 넓게(甫)펼치고, 넓게 펼쳐서 물건을 파는 가게.. (전당포, 포장도로, 지물포 등에 쓰임) *金: 쇠 금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혼동한자 #101. (甫 클 보)시리즈1

1) 甫(클 보): 한 일(一)과 점(丶)의 쓰임은(*用) 넓고 크게 쓰임.. (졸보, 주로 인명자, 지명자에 쓰임) * 用: 쓸 용 2) 補(기울 보): 옷감을(*衤) 넓고 크게(甫) 만들려면 바늘로 기워야 하는.. (보강, 보급, 보청기, 보좌관등에 쓰임) *衣 옷 의 衤 3) 輔(도울 보): 수레는(* 車)는 넓고 크게(甫) 도움을 주며 사용됨.. (보도, 보필, 주로 인명자, 지명자에 쓰임) *車:수레 차/수레 거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혼동한자 #100. (缶 장군 부)시리즈

1) 缶 (*장군 부): 특급2에 해당하는 한자로 주로 부수로 쓰입니다. * 장군: 액체를 담는그릇, 항아리의 한가지로 달걀을 눕혀놓은 것처럼 생긴 타원형임. 2) 謠 (노래 요): 술항아리의(缶) 술과 고기안주(*月 )먹으며, 말로된(*言) 노래를 부르는.. (가요, 동요, 민요 등에 쓰임) *肉 고기 육 月 : 육달월 이라고해서 고기, 몸, 등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 *言: 말씀 언 3) 遙 (멀 요): 항아리(缶) 짊어지고 고기육포(月) 챙겨서 움직여 (*辶)가야하는 먼거리.. (요요, 요원, 요망 등에 쓰임) *辵 쉬엄쉬엄갈 착 辶 : 이 부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책받침 변) 4) 搖 (흔들 요): 손에(*扌) 고기들고(月) 술항아리(缶) 술을 흔들어 마시는.. (요동, 요람, 요란, 요..

혼동한자 #99. (緣 인연 연)시리즈

1) 緣(인연 연):실을(*糸) 이용해서 암돼지(*彑) 숫돼지(*豕) 결혼시키는 인연.. (연분, 인연, 결연 등에 쓰임) *糸 실 사 *彐 돼지머리 계 彑 *豕 돼지 시 2) 椽(서까래 연): 나무를(木) 인연지어서(彖) 만들어 놓은 서까래.. (연목, 연단, 연청, 채연 등에 쓰임) ※ 綠(푸를 록)과 緣(인연 연)과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綠(푸를 록) 관련 시리즈는 아래글 참조바랍니다. 2021.05.18 - [혼동한자 시리즈] - 혼동한자 #98. (綠 푸를 록)시리즈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혼동한자 #98. (綠 푸를 록)시리즈

1) 彔 (새길 록): 특급한자로서 "새기다"라는 의미의 글자입니다.. 2) 綠(푸를 록): 나무의 실같은(*糸) 섬유질을 비틀어 짜면(*彑) 푸른 물이(*水)생기는.. (녹색, 녹초, 엽록소, 상록수 등에 쓰임) *糸 실 사 *彐 돼지머리 계 彑 (빨래 비튼모습으로 연상) *水 물 수 3) 錄(기록할 록):쇠에다(金) 물흐르듯(水) 글자를 새겨 기록해 놓는.. (회고록, 신기록, 비망록, 방명록 등에 쓰임) 4) 祿(녹 록):신의(*示) 세계에 새겨진만큼(彔) 받는 녹봉 (관록, 국록, 작록, 녹미 등에 쓰임) *示 보일 시 礻: 귀신, 신, 등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 5) 碌(푸른돌 록): 돌에(石) 새겨지듯(彔 ) 이끼가 끼니 푸르게 변한.. (녹청, 녹록 등에 쓰임) ※ 綠(푸를 록)과 緣(인연 연..

혼동한자 #97. (彩 채색 채)시리즈2

1) 菜 (나물 채): 나무(*木)숲에서 손으로(* 爫) 먹을수 있는풀을(*艹) 채취한것은 나물.. (야채, 생채, 채소, 채식 등에 쓰임) *木: 나무 목 * 爪 손톱 조 爫 *艸 풀 초 艹 2) 採 (캘 채):손과(*爫) 손으로(*扌) 나무(木 ) 숲속의 나물을 캐는.. (채취, 채택, 채혈, 채용 등에 쓰임) *爪 손톱 조 爫 *手 손 수 扌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혼동한자 #96. (彩 채색 채)시리즈1

1) 采 (풍채 채/딸 채): 손으로(*爫) 나무(木 )위에 과일을 따는.. (채색, 풍채, 주로 인명자, 지명자에 쓰임) *爪 손톱 조 爫 2) 彩 (채색 채): 풍채좋은 큰 나무숲(采) 사이로 들어오는 빛(彡).. (채색, 광채, 수채화) 3) 埰 (*사패지 채): 풍채좋은( 采 ) 사람에게 하사한 땅(土).. (채읍, 채지, 주로 인명자 지명자에 쓰임) * 사패지(賜牌地 ): 고려와 조선시대에 임금이 하사한 땅을 말함.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혼동한자 #95. (般 일반 반)시리즈

1) 般 (일반 반/가지 반):배는(*舟) 노를(*殳) 이용해서 움직이는 방법은 일반적인것.. (일반상식, 만반, 전반 등에 쓰임) *舟 : 배 주 *殳 칠 수(같은등글월문) : 치다, 때리다, 몽둥이등의 뜻으로 쓰입니다 2) 盤 (소반 반):배처럼(舟) 물건을 옮길수있는 작은 소반그릇(*皿).. (은반, 원반, 태반, 초반 등에 쓰임) *皿: 그릇 명 3) 槃 (쟁반 반): 일반적으로(般) 나무를(木) 깍아서 쟁반을 만드는.. (옥반, 열반, 반목 등에 쓰임) 4) 搬 (옮길 반):일반적으로(般) 물건을 옮길때는 손을(* 扌) 많이 사용함.. (운반, 반송, 반출 등에 쓰임) *手 손 수 扌 ※ 소반: 다리가 있는 상 ※ 쟁반: 다리가 없는 상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