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혼동한자 시리즈 194

혼동한자 #4. (鳥 새 조) 시리즈

1) 烏(까마귀 오): 눈이 없는 새(鳥)로 기억하십시요 (오골계, 강릉 오죽헌 등에 쓰입니다) 2) 鳥(새 조): 새의 모양을 본뜬 글자입니다 (칠면조, 불사조 등에 쓰입니다) 3) 嗚(슬플 오): 까마귀가(烏) 입으로(口) 슬피운다고 기억하십시요 (오열하다 등에 쓰입니다) 4) 鳴(울 명): 새가(鳥) 입으로(口) 우는 것이라고 기억하십시요 (비명, 자명종 등에 쓰입니다) 5) 島(섬 도): 새들이(鳥) 쉴 수 있는 산(山)이 있는 섬입니다 (낙도, 군도 등에 쓰입니다) * 한자를 가만히 보시면 鳥는 새니까 깃털이 송송송송(원래는 불화부수입니다(火= 灬))있구요.. 島는 산이(山) 있으니까 잘 구분해서 외우십시요 * 울릉도,독도는 島를 쓰지만 제주도( 濟州道)는 道(길 도)자를 쓴답니다.. 왜냐면 강..

혼동한자 #3. (巳 뱀 사)시리즈

1) 巳(뱀 사): 뱀이 웅크리고 꼬리를 세우고 있는 모습으로 뱀띠를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33세 뱀띠 기사생) *파충류 뱀을 뜻할때는 아래에 쓰인 蛇(긴뱀 사)가 쓰입니다 2) 己(몸 기): 몸을 굽힌모습 (자기, 극기심 등이 쓰입니다) 3) 已(이미 이): 巳에서 이가 살짝빠진 모양.. (부득이, 이왕지사 등에 쓰입니다) 4) 蛇(긴뱀 사): 독사, 살모사, 용두사미 등에 쓰여요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혼동한자 #1. (寺 절 사)시리즈

1) 寺(절 사): 좋은 땅에(土) 마디마디(*寸 ) 절을 짓는다라고 기억하세요 (사찰, 산사, 남사당 등에 쓰입니다) * 寸: 마디 촌 2) 侍(모실 시): 사람이(*亻) 절에 가면(寺) 스님이나 부처님을 모신다라고 기억하세요 (시종, 층층시하 등에 쓰입니다) * 人 사람 인 亻 3) 待(기다릴 대): 두 사람이(*彳) 절에(寺)가자고 약속하고 한 사람이 먼저와서 기다린다로 기억 (환대, 접대, 관대하다 등에 쓰입니다) *彳 자축거릴 척(두인변) 4) 時(때 시): 절(寺) 마당에 마다마디(寸) 해(日)그림자로 시간을 알수있다로 기억하기.. (시간, 잠시, 시차 등에 쓰입니다) 5) 特(특별할 특): 소가(牛, 소우) 절에(寺) 있는 건 특별한 일이겠죠? (특징, 특집, 특권 등에 쓰여요) 6) 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