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혼동한자 시리즈 194

혼동한자 #14. (目 눈 목 )시리즈

目→且→貝→見→具 1) 目(눈 목):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 (안목, 다목적, 제목 등에 쓰입니다) 2) 且(또 차): 그릇을 또 또 포개 놓은 모습이에요 (구차하다, 중대차 등에 쓰입니다) * 얘는 目보다 밑에 받침을 길게 써주셔야 해요 3) 貝(조개 패): 예전엔 조개를 화폐로 사용했었죠? 재물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패물, 패류 등에 쓰입니다) 4) 見(볼 견/ 뵈올 현): 사람이 (儿 어진사람 인) 눈으로(目) 보는 겁니다 (견적, 견본, 발견 / 알현 하다 등에 쓰입니다) * 알현(謁 뵐 알, 見 ): 임금님을 알현하다 5) 具(갖출 구): 상위에 음식을 갖추어 차려 놓은 모습 (침구, 필기구, 구비하다 등에 쓰입니다) * 얘는 가운데 선이 세개입니다..주의해서 외우십시요..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혼동한자 #13. (牛 소 우)시리즈

午→牛 1) 午(낮 오): 오전, 오후, 정오, 갑오경장 등에 쓰입니다 ※ 얘는 글자에 뿔이 없어요.. 牛는 뿔이 있으니까 헷갈리시면 안됩니다.. 2) 牛(소 우): 소의 머리위에 뿔이 있는 모양입니다 (견우직녀, 우이독경, 우유 등에 쓰입니다)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1) 午(낮 오) 2) 牛(소 우)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1) 午 2) 牛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1) 낮 오 2) 소 우

혼동한자 #12. (專 오로지 전)시리즈

1) 專(오로지 전): 수레는(車 수레거/차) 지금의 자동차는 오로지 일촌의 (寸 마디촌) 사람에게만 물려줍니다 (전문적, 전유물, 전념하다등에 쓰입니다) * 촌수 따질때 寸을 씁니다 (예: 삼촌 三寸) 2) 傳(전할 전): 사람은(* 亻) 오로지(專) 사람끼리만 전하고 삽니다.. (전설, 자서전, 부전자전 등에 쓰입니다) *人 사람 인 亻 3) 轉(구를 전): 수레는(車) 오로지(專) 구르기만 할 수 있습니다.. (반전, 역전, 전화위복등에 쓰입니다) * 傅(스승 부) - 傳(전할 전) 혼동에 주의! 2021.06.03 - [혼동한자 시리즈] - 혼동한자 #110. (傅 스승 부)시리즈1 2021.06.04 - [혼동한자 시리즈] - 혼동한자 #111. (傅 스승 부)시리즈2 2021.06.05 - [..

혼동한자 #11. (舌, 혀 설)시리즈

舌→活→話 1) 舌(혀 설): 입을(口) 쭉~ 내민 모습으로 기억.. (구설수, 설전을벌이다 등에 쓰입니다) * 소의 혓바닥을 우설(牛舌) 이라고 해요.. 2) 活(살 활): 혀로(舌) 물을(水=氵) 마심으로 활동력이 생기는 겁니다.. (활동, 생활, 쾌활 등에 쓰입니다) 3) 話(말씀 화): 혀를(舌) 통해서 말을하는(言) 말씀.. (설화, 회화, 수화기 등에 쓰임)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1) 舌(혀 설) 2) 活(살 활) 3) 話(말씀 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1) 舌 2) 活 3) 話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1) 혀 설 2) 살 활 3) 말씀 화

혼동한자 #10. (主, 주인 주)시리즈

主→住→往→注→柱→註 1)主(주인 주): 임금이(王,임금 왕) 엄지손가락(丶) 꾹눌러서 주인이다라고 선포한다라고 기억하십시요 (주인, 주장, 주관하다등에 쓰입니다) 2) 住(살 주): 주인된(主) 사람이(人= 亻사람인변) 살고있다라고 기억하십시요 (의식주, 현주소, 거주하다등에 쓰입니다) 3) 往(갈 왕): 두사람이( 彳,두인변) 오고가고 왕래하는 겁니다 (왕래, 왕복등에 쓰입니다) 4) 注(부을 주): "주" 발음에 물이(水 =氵 물수변)있으니까 붓는다는 의미로 기억하기.. (주유소, 주의하다, 주목하다등에 쓰임) 5) 柱(기둥 주): 나무가(木) 주인이(主) 되어서 집 기둥으로 서있는 것으로 기억.. (사주, 전주, 지주 등에 쓰입니다) 6) 註(글뜻풀 주): 말의(言) 주인을(主) 가려내는.. (역..

혼동한자 #9. (門 문 문)시리즈

門→問→聞→間→開→閉→閣 1) 門 (문 문): 문의 모습 (창문, 후문, 교문 등에 쓰입니다) 2) 問 (물을 문): 입이(口) 있으니까 입으로 묻는 겁니다 (질문, 의문, 설문조사 등에 쓰입니다) 3) 聞 (들을 문): 귀가(耳, 귀 이) 있으니까 귀로 듣는 겁니다 (청문회, 금시초문, 탐문하다 등에 쓰입니다) 4) 間 (사이 간): 문틈(門) 사이로 해가(日) 비추어 들어오는 사이.. (시간, 막간, 어중간, 조만간 등에 쓰입니다) 5) 開 (열 개): 두 손으로 문을 여는 모습 (전개, 개업, 개원 등에 쓰입니다) 6) 閉 (닫을 폐): 한쪽만 닫혀 있는 문 (폐점, 폐교, 자폐증 등에 쓰입니다) 7) 閣 (집 각): 각각(各, 각각 각) 여러 사람이 드나드는 큰문이(門 ) 있는 집.. (각료, 개..

혼동한자 #8. (黑 검을 흑)시리즈

1) 黑(검을 흑): 땅위에(土) 불이나면(* 灬 ) 검은 흑색만 남아요.. (흑색, 흑심, 흑설탕 등에 쓰여요) * 火 불 화 灬 2) 墨(먹 묵): 흑색의(黑) 흙덩어리로(*土) 만든 먹... (묵향, 수묵화 등에 쓰임) *土: 흙 토 3) 默(잠잠할 묵): 검은(黑) 밤에는 개도(犬, 개견) 짖지 않고 잠잠해요 (묵념, 과묵, 묵비권 등에 쓰여요) 4) 點(=点 점 점): 흑색으로 (黑) 점령하고(占) 있는 점.. (점검, 점수, 단점 등에 쓰임)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혼동한자 #7. (言 말씀 언)시리즈

言→語→話→說→設→談 1) 言(말씀 언): 입안에(口) 있는 말씀.. (언급, 언론, 과언 등에 쓰임) 2) 語(말씀 어): 나의 (吾, 나 오) 생각을 말하는(言) 말씀.. (논어, 속어, 유행어 등에 쓰임) 3) 話(말씀 화): 혀를(舌, 혀 설) 통해서 말을 하는(言) 말씀.. (설화, 회화, 수화기 등에 쓰임) 4) 說(말씀 설/달랠 세): 기쁘게(兌, 기쁠 태) 말하는(言) 말씀 (설명, 욕설, 해설 / 유세 등에 쓰임) 5) 設(베풀 설): (설계, 신설, 특설 등에 쓰임) 6) 談(말씀 담): 불이(火) 붙듯이 말을(言) 잘해서 담판을 짓는.. (미담, 담판, 밀담, 간담회 등에 쓰임)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1) 言(말씀 언) 2) 語(말씀 어) 3) 話(말씀 화) 4) 說..

혼동한자 #6. (魚 고기 어)시리즈

魚→漁→鮮 1) 魚(고기 어): 물고기 모양을 본뜬한자입니다 머리→몸통(田)→꼬리( 灬) (어종, 어육, 건어물 등에 쓰입니다) * 머리( )는 부수열람표에 없어서 표기를 못했습니다 2) 漁(고기잡을 어): 물에(* 氵) 고기가(魚) 있으니까 잡아야 한다고 기억하십시요 (어부, 농어민 등에 쓰입니다) *水 물 수 氵(삼수 변) 3) 鮮(고울 선): 물고기(魚) 양고기(羊, 양 양) 다 빛깔이 고와야 신선한 것.. (선명, 신선, 생선 등에 쓰임) * 어부(漁夫)를 쓸때 보통 魚를 쓴다고 쉽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꼭! 漁를 쓴다는 것 명심하십시요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1) 魚(고기 어) 2) 漁(고기잡을 어) 3) 鮮(고울 선)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1) 魚 2) 漁 3) ..

혼동한자 #5. (比 견줄 비)시리즈

比→此→北 1) 比(견줄 비): 두사람이 비교한다라고 기억하십시요 (비율, 비교, 반비례 등에 쓰입니다) 2) 此(이 차): 이것저것할 때 의미로 쓰이는 한자입니다 (어차피, 차일피일 등에 쓰입니다) 3) 北(북녘 북/ 달아날 배): 두사람이 등지고 있는 모습으로 기억하십시요 (북한, 북두칠성/ 패배 등에 쓰입니다) *한자풀이를 순서대로 떠올려보세요^^* 1) 比(견줄 비) 2) 此(이 차) 3) 北(북녘 북/ 달아날 배) *각 한자의 훈음을 떠올려보세요^^* 1) 比 2) 此 3) 北 *각 훈음의 한자를 떠올려보세요^^* 1) 견줄 비 2) 이 차 3) 북녘 북/ 달아날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