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301

사자성어] 어부지리(漁父之利)

漁父之利(어부지리) : 어부의 이득이란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동안에 아무 관계없는 제3자가 이득을 취한다는 의미 (예: 두 후보의 어리석음 때문에 당선 가능성이 없었던 다른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었다) * 황새와 조개가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가 둘 다 잡았다는 고사에서 유래 漁 (고기잡을 어) : 물(*氵)속에 있는 물고기(*魚)는 잡는다 * 水 물 수 氵(삼수 변) * 魚 물고기 어 父 (아비 부) : 아버지의 얼굴엔 팔자(*八) 수염이 나있는.. * 八 여덟 팔 之 (갈 지) : 지그재그(Z) 사람이 걸어가는 모습.. 利 (이로울 리/날카로울 리) : 곡식(*禾)을 수확하는 칼은(*刂) 날카롭고 이롭고.. * 禾 벼 화 * 刀 칼 도刂

사자성어 2022.01.30

사자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不恥下問(불치하문) : 지위나 나이, 학식 따위가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뜻 不 (아닐 불) : 나무를(*木) 바위가(一) 누르고 있어서 자라 오르기 불가능 * 木 나무 목 恥 (부끄러울 치) : 귀로(*耳) 들려오는 나쁜 말들을 마음으로(*心) 부끄러워 하는 * 耳 귀 이 * 心 마음 심 下 (아래 하) : 땅의(一) 아래를 표시한 모습 問 (물을 문) : 문앞(*門)에서 입으로(*口) 물어보는.. * 門 문 문 * 口 입 구

사자성어 2022.01.30

사자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

易地思之(역지사지) : 상대편의 처지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해 보라는 뜻 * 유래: 맹자(孟子)의 "이루"편에 나오는 '역지즉개연'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처지가 바뀌면 모두 그러했을 것이다"라는 표현에서 유래되었음 易 (바꿀 역/쉬울 이) : 해를(*日) 비추면 햇살의(勿) 많고 적음에 따라 여려가지 환경들이 쉽게 바뀌어진다 * 日 해 일 地 (땅 지) : 흙이(*土) 뭉쳐져(*也)서 모인곳 * 土 흙 토 * 也 어조사 야(흙이 뭉쳐진 모습으로 기억^^) 思 (생각 사) : 밭에(*田) 무엇을 뿌릴까 마음으로(*心) 생각함 * 田 밭 전 * 心 마음 심 之 (갈 지) : 지그재그로( Z ) 왔다갔다 사람이 걸어가는 모습

사자성어 2022.01.30

사자성어] 삼고초려(三顧草廬)

三顧草廬(삼고초려) : 유비가 제갈공명을 세 번이나 찾아가 군사(軍師)로 초빙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인재를 얻기 위해 참을성 있게 노력한다는 뜻.. 이때 제갈량은 27세, 유비는 47세였다 (직역을 하자면 초가집을 세번 돌아보다) 三 (석 삼) : 작대기 세개 顧 (돌아볼 고) : 새가(*隹) 둥지(*戶)의 위치를 머리속에(*頁) 기억하려고 주변을 돌고 돌고 또 돌아봄 * 隹 새 추 * 戶 집 호 * 頁 머리 혈 草 (풀 초) : 풀은(*艹) 해를(*日) 십일(*十)만 받아도 무성해짐.. * 艸 풀 초 艹 * 日 해 일 * 十 열 십 廬 (오두막집 려) : 집안에(*广) 음식저장하는 밥그릇만(*盧) 몇개놓인 농사때 쓰는 초가집.. * 广 집 엄 : 큰집사이즈를 나타낼때 주로 이 부수를 씁니다 관청 ..

사자성어 2022.01.30

사자성어] 양두구육(羊頭狗肉)

羊頭狗肉(양두구육) : 양의 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그럴싸 하지만 속은 보잘 것 없음을 이르는 말 羊(양 양) : 양의 얼굴과 뿔을 표현한 모습 頭(머리 두) : 콩은(*豆) 머리에(*頁) 아주 좋다 * 豆 콩 두 * 頁 머리 혈 狗(개 구) : 서당 마당에 앉아 글(*句)읽는 소리를 듣고 있는 개(*犭) * 句 글귀 구 * 犬 개 견 犭: 이 부수는 개, 늑대 등 주로 짐승을 나타낼때 쓰입니다 肉(고기 육) : 고기뼈에 붙은 살점의 모습

사자성어 2022.01.30

생활한자] 앙등(昻騰)

昻騰(앙등) : 주식이나 물건값등이 뛰어오름을 일컫는 말.. (예:사료 가격의 앙등으로 축산물 생산비가 올라갔다) 昻(오를 앙/높을 앙) : 해가(*日) 높이 우러러(*仰) 높이 떠오르는.. * 日 해 일 * 仰 우러를 앙 騰(오를 등) : 지아비가(*夫) 몸을(*月) 팔자(*八)모양으로 구부려 힘주며 말(*馬)등에 올라탐 * 夫 지아비 부 * 肉 고기 육 月 : 육달월 이라고해서 고기, 몸, 등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 * 八 여덟 팔 * 馬 말 마

생활한자 202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