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301

사자성어] 백면서생(白面書生)

백면서생(白面書生) : 글만 읽고 세상 물정에 어두운 사람(햇빛도 안보고 집안에서 글만 읽어 얼굴이 하얀 서생을 일컬음) 白(흰 백) : 해가(*日) 쏟아지는 흰빛(*丶).. *日 해 일 *丶 점 주 面(얼굴 면) : 사람의 얼굴모습.. 書(글 서) : 붓(*聿)들고 선생님말씀(*曰) 받아 적은 글.. *聿 붓 률 *曰 가로 왈(日(해 일)이 아니고 공자왈(曰), 맹자왈(曰) 할때 쓰이는 글자) 生(날 생) : 땅(*土)위에 사람이(*人) 태어나 살고 있음.. *土 흙 토 *人 사람 인

사자성어 2022.01.06

사자성어] 금의환향(錦衣還鄕)

금의환향(錦衣還鄕) : 비단옷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온다는 뜻.. (출세하여 고향으로 돌아옴을 일컫는 말) 錦(비단 금) : 금(*金)과 같은 값어치가 있는 하얀(*白) 천(*巾).. *金 쇠 금 *白 흰 백 *巾 수건 건 衣(옷 의) : 갓을쓴(*亠) 사람의 옷고름이 펄럭거리는 모습.. *亠 돼지해머리 還(돌아올 환) : 고리로(*環) 연결된것은 돌고 돌면 원래 자리로 돌아(*辶)온다.. *環 고리 환 *辵 쉬엄쉬엄갈 착 辶 : 이 부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책받침 변) 鄕(시골 향) : 젋은시절(*幺) 낮에(*白) 비수들고(*匕) 지키던 마을(*阝) *幺 작을 요 *白 흰 백 *匕 비수 비 *邑 고을 읍 阝 : 우부방 변 (어떤글자의 오른쪽에만 붙어서 마을, 나라, 고을등을 뜻하는 부수임) ※..

사자성어 2022.01.06

사자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순망치한(脣亡齒寒) :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서로 도와주다 어느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 쪽도 위태로워진다는 의미) 脣(입술 순) : 별처럼(*辰) 몸(*月)에서 붉게 빛나는 입술.. *辰 별 진 *肉 고기 육 月 : 육달월 이라고해서 고기, 몸, 등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 亡(망할 망) : 갓을쓴(*亠) 머리가 땅속에 묻어진(*匸 )것은 죽은것 즉 망한것.. *亠 돼지해머리 *匸 감출 혜 齒(이 치) : 그치고(*止) 있는 윗니와 아랫니의 모습.. *止 그칠 지 寒(찰 한) : 집안의(*宀) 우물에(*井) 얼음이(*冫)꽁꽁 얼어붙는 추운 날씨.. *宀 집 면(갓머리) : 작은집 사이즈를 나타낼때는 주로 이부수가 쓰입니다 *井 우물 정 *冫 얼음 빙(이수변)

사자성어 2022.01.06

사자성어] 송구영신(送舊迎新)

송구영신(送舊迎新) :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한다는 뜻.. 送(보낼 송) : 팔자(*八)대형 그리며 하늘(*天)을 날아가는(*辶) 기러기는 보내줘야 함.. *八 여덟 팔 *天 하늘 천 *辵 쉬엄쉬엄갈 착 辶 : 이 부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책받침 변) 舊(옛 구) : 숲속에(*艹) 새가(*隹) 엄청 많이 날고 절구(*臼)질해서 쌀빻아 밥해먹던 옛날.. * 艸 풀 초 艹 *隹 새 추 *臼 절구 구 迎(맞을 영) : 병부절(*卩)명령서 내려지면 맞이하여(*辶)받음.. *卩 병부 절 *辵 쉬엄쉬엄갈 착 辶 : 이 부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책받침 변) 新(새 신) : 서있는(*立) 나무를(*木) 도끼로(*斤) 가지를 쳐주면 새순이 다시 돋아남.. *立 설 립 *木 나무 목 *斤 도끼 근

사자성어 2021.12.30

사자성어] 새옹지마(塞翁之馬)

새옹지마(塞翁之馬) : 인생의 일은 복이 될지 화가 될지 예측할 수 없다는 뜻 (인생은 길흉화복이 심해 예측할 수 없다는 뜻) 塞(변방 새/막힐 색) : 집안의(*宀) 우물이(*井) 흙(*土)으로 가득차니 막힌것.. *宀 집 면(갓머리) : 작은집 사이즈를 나타낼때는 주로 이부수가 쓰입니다 *井 우물 정 *土 흙 토 翁(늙은이 옹) : 날개같은(*羽) 팔자(*八) 수염을 가진 늙은이.. *羽 깃 우 *八 여덟 팔 之(갈 지) : 지그재그로( Z ) 왔다갔다 사람이 걸어가는 모습.. 馬(말 마) : 말이 달리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

사자성어 2021.12.26

사자성어] 발본색원(拔本塞源)

발본색원(拔本塞源) : 근본을 뽑아버리고 근원을 막는다는 뜻 (폐단의 근본 원인을 뽑아서 없애버림) 拔(뽑을 발) : 손으로(*扌) 개의(*犬) 털을 뽑음(犮).. * 手 손 수 扌 * 犬 개 견 本(근본 본) : 나무의(*木) 아래를 표시한 뿌리의 근본.. * 木 나무 목 塞(막힐 색/변방 새) : 집안의(*宀) 우물에(*井) 흙이(*土) 가득차서 막힌 것.. * 宀 집 면(갓머리) : 작은집 사이즈를 나타낼때는 주로 이부수가 쓰입니다 * 井 우물 정 * 土 흙 토 源(근원 원) : 물이(*氵)나오는 언덕의(*原) 근원지.. *水 물 수 氵(삼수 변) *原 언덕 원

사자성어 2021.12.26

사자성어] 조삼모사(朝三暮四)

조삼모사(朝三暮四) : 아침에 세개, 저녁에 네개라는 뜻으로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한다는 뜻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을 알고 그 결과가 어떤지는 알지 못한다는 의미) ※유례: 원숭이 기르는 사람이 그동안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4개, 저녁에 4개씩 모두 8개 주고 있었는데, 하나를 줄이려 했다. 원숭이들에게 앞으로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씩 주겠다고 하니 원숭이들이 화를 냈다. 그래서 앞으로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씩 주겠다고 했더니 원숭이들이 만족해했다(원숭이들은 어리석어서 모두 똑같은 7개라는걸 모르는 어리석음을 꼬집은 유명한 고사성어) 朝(아침 조) : 해가뜨고(*卓) 달이(*月)지는 아침시간.. *卓 높을 탁 *月 달 월 三(석 삼) : 작대기 세개.. 暮(저물 모) : 해가(*日) 없어..

사자성어 2021.12.26

사자성어] 상전벽해(桑田碧海)

상전벽해(桑田碧海) : 뽕나무 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되었다는 뜻.. (세상의 변천이 심하다는 의미) 桑(뽕나무 상) : 또심고(*又) 또심고(又) 또심은(又) 누에기르는 뽕나무(*木).. *又 또 우 *木 나무 목 田(밭 전) : 밭이랑으로 구분되어진 밭의 모습.. 碧(푸를 벽) : 옥(*玉) 돌(*石)에서 흰(*白)빛이 살짝 감도는 푸른빛.. *玉 구슬 옥 王 : 임금,구슬, 보물등의 의미로 쓰임 *石 돌 석 *白 흰 백 海(바다 해) : 사방으로 늘(*每) 물(*氵)이 있는 바다.. *每 매양 매 *水 물 수 氵(삼수 변)

사자성어 2021.12.26

사자성어] 감개무량(感慨無量)

감개무량(感慨無量) : 마음속에서 느끼는 감동이 끝이 없음. (무한한 감동) 感(느낄 감) : 모두 다(*咸) 마음이(*心) 있으니 감정이 있는것.. *咸 다 함 *心 마음 심 慨(슬퍼할 개) : 마음속에(*忄) 사람들은 대개(*槪) 한가지 슬픔은 가지고 있다.. *心 마음 심 忄 㣺 *槪 대개 개 無(없을 무) : 사람을 장작쌓은 위에 올려놓고 불(*灬)피워 없어지게 함.. *火 불 화 灬 量(헤아릴 량) : 아침이(*旦) 되면 마을(*里)에서 무언가를 분주히 헤아리고 있음.. *旦 아침 단 *里 마을 리

사자성어 2021.12.26

사자성어] 진퇴양난(進退兩難)

진퇴양난(進退兩難) :궁지에 몰려 나아가는 것과 물러나는 것이 모두 어려운 상황 進(나아갈 진) : 새는(*隹) 날개짓으로 움직여서(*辶) 앞으로 나아가는.. * 隹 새 추 * 辵 쉬엄쉬엄갈 착 辶 : 이 부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책받침 변) 退(물러날 퇴) : 움직여(*辶) 가던길 멈추고(*艮) 물러나는.. * 辵 쉬엄쉬엄갈 착 辶 : 이 부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수입니다(책받침 변) * 艮 그칠 간/괘이름 간 兩(두 량) : 저울추가 두개.. 難(어려울 난) : 새가(隹) 진흙(*菫)속에 빠져서 날기에 어려움에 빠진.. * 隹 새 추 * 菫 (진흙 근)

사자성어 2021.12.26